
운전을 하다 보면 누구나 한 번쯤 겪는 타이어 펑크 사고. 특히 가장 혼란스러운 상황은 타이어에 못이나 나사가 박혀 있는 것을 발견했을 때다. 이럴 때 “당장 뽑아야 할까?” 아니면 “그대로 두고 정비소까지 가야 할까?”라는 고민에 빠진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절대 임의로 뽑지 말아야 한다.
못이 타이어에 박힌 상태는, 아이러니하게도 ‘임시로 공기 누출을 막고 있는’ 상황일 수 있다. 정비 전문가들에 따르면, 못이나 나사가 박혀 있다고 해도 공기가 완전히 빠지지 않는 경우가 많다. 이는 못 자체가 구멍을 막아주는 역할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걸 억지로 빼면, 막혀 있던 구멍이 열리며 순식간에 공기가 빠지고 주행 불가능한 상황이 될 수 있다.

못이 박혀 있는 걸 발견했다면 다음 단계를 따르면 된다.
당장 뽑지 말고 차량이 주차된 상태로 유지.
가능한 한 근처 정비소나 타이어 전문점에 전화해 상황 설명.
타이어 공기압이 급격히 줄고 있는 상황이라면, 비상용 타이어나 펑크 수리 키트 활용.
운전이 가능할 정도라면 낮은 속도로 정비소까지 이동. (일반적으로 50km/h 이하 추천)
못이 박힌 위치와 타이어 손상 정도에 따라 수리 여부가 갈린다. 트레드(접지면)에 가까운 구멍은 수리 가능성이 높으며, 사이드월(옆면) 손상은 수리 불가로 판단돼 타이어 교체가 필요하다. 못 크기가 크거나 이물질이 움직이며 내부 손상을 준 경우에도 수리보다 교체가 권장된다.
펑크는 운전자의 실수로 막기 어렵지만, 정기적인 공기압 체크, 타이어 마모 상태 점검, 그리고 도로의 위험 요소 회피 운전 습관은 사고 예방에 큰 도움이 된다. 또한 타이어 보험에 가입해두면 갑작스러운 펑크에 대비할 수 있다.
타이어에 못이 박혔다면 절대 뽑지 말고 그대로 정비소로 가야한다. 당장은 괜찮아 보여도 억지로 제거할 경우 더 큰 손상이 생길 수 있다. 자동차도 건강처럼, 빠른 판단보다 정확한 조치가 중요하다.
댓글 많은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