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메뉴 바로가기 (상단) 본문 컨텐츠 바로가기 주요 메뉴 바로가기 (하단)

왜 한국 고속도로는 시속 100km로 묶였을까? 아우토반과 비교해보니

김상균 에디터 조회수  

한국 고속도로의 속도 제한이 독일 아우토반처럼 풀리지 않는 이유와 현재 시속 100~110km로 규제하는 게 적당한지 살펴봤다. 도로 설계, 운전 습관, 교통 환경까지 여러 요인을 뜯어봤는데, 특히 독일의 추월 차선 문화와 한국의 현실을 비교하며 초점을 맞췄다. 독일 아우토반은 속도 무제한 구간으로 유명하지만, 그 이면엔 철저한 규칙 준수와 운전자 배려가 있었다. 한국은 그걸 따라가기엔 아직 갈 길이 멀다.

고속도로 이미지 / 픽사베이

독일 아우토반, 속도 무제한의 비밀

독일 아우토반은 일부 구간에서 속도 제한이 없다. 이게 가능한 건 운전자들이 추월 차선(왼쪽 차선)을 철저히 지켰기 때문이다. 뒤에서 빠른 차가 오면 오른쪽으로 재빨리 비켜줬다. 이런 배려는 고속 주행에서도 사고를 줄이고 교통 흐름을 매끄럽게 했다. 독일 운전면허는 따기 어렵고 비쌌다. 법규 위반 시 벌금도 세서 운전자들이 스스로 책임감을 가졌다.

한국 고속도로, 속도 풀기 힘든 이유

과속 단속 카메라 / 셔터스톡

한국 고속도로는 시속 100~110km로 묶여 있다. 도로가 독일보다 좁고, 곡선 구간과 경사가 많았다. 차량 밀도도 높아서 속도를 풀면 충돌 위험이 커졌다. 문제는 운전 습관이다. 추월 차선을 계속 점유하거나 뒤차가 빠르다고 비켜주지 않는 경우가 많았다. 이런 상황에서 속도 제한을 없애면 교통 혼잡과 사고가 더 늘어날 가능성이 컸다.

시속 100~110km, 적당한 선택인가

현재 속도 제한은 안전과 효율성을 고려한 결과다. 국토교통부와 도로교통공단은 속도를 높이면 제동 거리가 길어지고 사고 피해가 커진다고 밝혔다. 시속 100km에서 130km로 올라가면 제동 거리가 1.7배 늘었다. 충돌 에너지는 속도의 제곱에 비례해 폭발적으로 증가했다. 한국처럼 차 간격이 좁고 교통량이 많은 곳에선 이런 위험이 더 심했다.

독일은 넓고 직선적인 도로와 운전자 간 협력이 속도 무제한을 뒷받침했다. 한국이 이를 따라하려면 도로 인프라를 손보고 운전 문화를 바꿔야 했다. 추월 차선을 비우고 뒤차를 배려하는 습관이 자리 잡으면 속도 제한 완화도 꿈은 아닐 것이다.

고속도로 이미지 / 픽사베이

결론

한국 고속도로가 아우토반처럼 속도 제한을 풀지 못하는 건 도로 조건, 차량 밀도, 운전 습관 때문이었다. 시속 100~110km 규제는 안전을 우선한 현실적인 선택이다. 독일처럼 추월 차선 준수와 배려가 뿌리내리지 않는 한 속도 무제한은 시기상조다. 도로를 넓히고 운전자 교육을 강화하면 언젠가 유연한 정책을 논의할 날이 올지도 모른다. 독일은 속도 자체보다 문화가 핵심이라는 걸 보여줬다.

관련 기사

author-img
김상균 에디터
carandmore_partner@carandmore.co.kr

댓글5

300

댓글5

  • 속도 제한을 풀어놓은 도로도 없는데 운전자 배려니 차량 밀도니 이런 예측으로 안 좋은 결과를 예단하는 건가. 한 번 실험이라도 해보고 가타부타 해야지 안그래?

  • 고속도로를 가다 보면 원거리 가는 차들이 1차선으로 계속 주행하는 경우가 많더군요. 추월선의 개념을 모르는 이런 운전자들이 많다 보니 할 수 없이 2차선으로 변경하여 추월해야 하는 추월방법 위반을 하게 됩니다.

  • 이러니 저러니 해 봐야 사족일 뿐이고, 정부에서 범칙금 수익에 목을 매고 있기 때문이여! 고속도로와 일반 국도가 그 나라의 경제가 움직이는 혈관이라는 걸 망각하고 그걸 세금 걷는 화수분으로만 생각하는 버러지들이 정부와 국회에 수두룩 빵빵하게 널려 있기 때문이라고~! 그게 다야!~

  • 법이 우스워서

    우리나라는 고속도로가 아니고 고속화 도로라고 불려야함 국도보다 조금더 빨리 갈수있는 도로... 도로 노면상태도 울퉁불퉁 땜질을 엉망으로 해놓구 지정차선도 정해 놓으면 뭐하나 크던 작던 화물차들이 1. 2차선을 버젓이 주행하는데 개념없는 운전자들도 문제지만 도로여건도 잘살펴 주세요 안전이 최우선 아니겠습니까

  • 속도제한

    한국은 시속 100km이상으로 제한해야함 무법자가 너무많고 20대이상자들이 아무생각이없기때문에 또 한국은 법이라고 있지만 죄를지어도 몇년감방생활하다가 출소해서 재범하기때문에 절대적으로 힘듦

[이슈] 랭킹 뉴스

  • 러·우 전쟁으로 바빠진 한국 중고차 시장? 수출 인기 물량 판매 급증
  • 현대차가 인수한 보스턴다이나믹스 로봇이 '아메리칸 갓 탤런트'에 출연했다
  • 제주도는 벌써 시작됐다는 장마... 내 차 관리는 어떻게 해야 하나?
  • 보험 처리 안 되는 주차 사고, 이런 경우엔 수리비 '전액 본인 부담'
  • “주차할 때 꼭 꺼야 합니다”… 몰라서 배터리 갈아 끼운 사람들
  • "세차 후 그냥 두지 마세요…" 차 수명 줄이는 마무리 실수들

추천뉴스

  • 1
    드디어 등장한 '전기 핫해치' 푸조 e-208 GTi 글로벌 공개

    최신뉴스 

  • 2
    벌써 40주년 맞이했다는 한국 최초의 수입차 딜러사

    최신뉴스 

  • 3
    가솔린 무쏘 스포츠 내년 출시? KG 모빌리티 미래 사업계획 발표

    최신뉴스 

  • 4
    '팔릴까?' 했는데 월 500대 판매 중이라는 브랜드, 후속 차종 전시한다

    최신뉴스 

  • 5
    브랜드 통합 기념으로 6월에만 '큰 이벤트' 연다는 스텔란티스

    최신뉴스 

지금 뜨는 뉴스

  • 1
    미국 충돌 실험에서 올해도 가장 많은 차종 최고 등급 받았다는 '이 브랜드'

    최신뉴스 

  • 2
    대대적 라인업 개편 전 합리적인 가격에 공식 시승차 판매한다는 로터스

    최신뉴스 

  • 3
    여름 호캉스, AMG 감성 입다…반얀트리 서울서 브랜드 캠페인 진행

    최신뉴스 

  • 4
    이네오스 오토모티브, 5대 한정판 모델 국내에 선보인다

    최신뉴스 

  • 5
    현대차, 포터 전기 특장차 출시… 전동식 윙바디·야간 충전 편의성 강화

    최신뉴스 

공유하기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