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메뉴 바로가기 (상단) 본문 컨텐츠 바로가기 주요 메뉴 바로가기 (하단)

기아, 협력사까지 포함했다… 새 안전 전략 공개

권혁재 에디터 조회수  

산업재해에 대한 정부의 강력한 조치에 선제적으로 방향성 제시해

기아가 노사 공동으로 중대재해 근절을 위한 안전보건 대책을 내놨다. 정부가 산업재해 사망사고 기업에 대한 공공입찰 자격 제한을 강화하려는 움직임을 보이는 가운데, 기아는 선제적으로 안전 문화 확산을 위한 실천 계획을 구체화했다.

기아가 안전한 일터 마련을 위한 노사 공동 선언을 발표했다. 앞줄 왼쪽부터 기아 최고안전보건책임자(CSO) 최준영 사장, 하임봉 전국금속노조 기아자동차지부 지부장. / 기아

기아는 6일 경기도 광명에 위치한 오토랜드 광명에서 ‘안전한 일터 조성을 위한 노사공동 안전보건 선언식’을 열고 안전을 최우선 가치로 삼겠다고 밝혔다. 행사에는 최준영 기아 최고안전보건책임자(CSO) 사장과 하임봉 전국금속노조 기아자동차지부 지부장을 포함한 노사 관계자 16명이 참석했다.

◆ 로봇·AI 활용한 안전 기술 도입

기아의 안전캐릭터 수호로 표현한 10대 안전 수칙. / 기아

선언문에는 ▲안전 우선 원칙 실천 ▲위험요인 발굴 및 개선 ▲ESG 경영과 연계한 안전경영 ▲안전문화 정착 등 네 가지 실천 방향이 담겼다. 이를 위해 기아는 산업용 착용로봇 ‘엑스블 숄더’와 AI 기반 경고 시스템을 확대 도입하고, 폭염 피해를 막기 위한 냉방시스템을 강화한다. 협력사 맞춤형 안전 지원 프로그램과 노사 공동 안전 캐릭터 ‘수호’를 활용한 캠페인도 전개할 계획이다.

기아 관계자는 “실효성 있는 조치를 위해 협력사까지 책임을 함께 나누고 지속 가능한 안전 문화를 만들어가겠다”고 말했다.

◆ 정부, ‘사망 1명만 나와도’ 입찰 제한 추진

김영훈 고용노동부 장관이 30일 경기 화성시 쿠팡 동탄물류센터를 불시 방문해 폭염 속 노동자들의 작업 및 휴식 환경을 점검하고 있다. / 뉴스1

기아의 이번 선언은 정부의 규제 강화 흐름과 맞물려 있다. 6일 기획재정부·고용노동부·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정부는 산업재해 사망사고가 발생한 기업의 공공입찰 자격을 기존 ‘산업안전보건법 위반+동시 사망자 2명 이상’에서 ‘사망자 1명’으로 강화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김종윤 고용부 산업안전보건본부장은 “사망사고가 반복돼도 제재가 어려운 구조”라며 “입찰 제한 요건을 새롭게 설정하는 방안을 협의 중”이라고 말했다. 강희업 국토부 2차관도 “사망사고 발생 기관을 공공사업 입찰에서 배제하거나 경영평가에서 감점하는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기아의 이번 선언은 이러한 규제 강화 기조에 맞춰 산업계가 선제적으로 대응책을 내놓은 사례로 평가된다.

관련 기사

author-img
권혁재 에디터
mobomtaxi@carandmore.co.kr

댓글0

300

댓글0

[최신뉴스] 랭킹 뉴스

  • 픽셀은 어디서 본 것 같은데... 벤츠, 새로운 전기차 얼굴 공개한다
  • 들끓는 여론에 금융당국 결국... 보험 수리시 품질인증부품 의무 사용 사실상 폐지
  • “이 차가 벌써 1000대나 팔렸다고?” 벤틀리 벤테이가, 한국서 특별한 이벤트 연다
  • 가평 수해 현장에 등장한 ‘찾아가는 카페’.. 혼다가 준비했다
  • 일본까지 번진 현대차 팬덤.. 캠핑장에서 열린 특별한 출범식
  • 단 69대 팔았다... 폴스타 연내 중국 완전 철수설 돌아

공유하기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