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료 부족은 단순한 실수가 아니다, 법적 책임까지 따를 수 있다

운전을 하다 보면 누구나 한 번쯤은 연료 경고등을 무시하고 달린 경험이 있을 것이다. 특히 고속도로처럼 주유소가 간격을 두고 있는 구간에서는 “조금만 더 가면 되겠지”라는 생각이 들기 마련이다. 그러나 고속도로에서 연료가 떨어져 차량이 멈추게 되면, 이는 단순한 불편을 넘어 법적 책임과 사고 위험까지 동반하는 중대한 위반 행위가 될 수 있다.
도로교통법에 따르면 고속도로에서는 차량의 정차 자체가 제한된다. ‘고장 등 부득이한 사유’가 있을 경우에만 갓길이나 안전지대에 정차할 수 있으며, 연료 부족은 일반적으로 ‘예방 가능한 상황’으로 간주된다. 다시 말해, 고속도로 진입 전에 연료를 충분히 확인하지 않은 운전자의 주의의무 위반으로 해석되는 것이다.

연료 부족은 단순한 실수가 아니라, 타인의 안전을 위협하는 예측 가능한 위험으로 간주될 수 있다. 운전자의 “몰랐다”는 말로는 법적 책임에서 벗어나기 어렵다.
연료가 떨어져 차량이 멈췄을 경우, 한국도로공사에 긴급견인을 요청할 수 있다. 이 경우 가까운 휴게소나 톨게이트까지는 무료 견인이 가능하지만, 구간에 따라 대기 시간이 길어질 수 있고, 추가 비용이 발생할 수도 있다.
또한 도로 위 정차에 따른 과태료는 별도로 부과될 수 있으며, 정차 차량으로 인해 발생한 2차 사고가 운전자 과실로 판명될 경우 민사상 손해배상 책임까지 이어질 수 있다.
보험사의 긴급출동 서비스를 이용할 수도 있지만, 고속도로의 특성상 접근이 어려워 시간이 지연될 가능성이 높다. 이 과정에서 차량이 방치되면, 2차 사고 위험은 물론 생명까지 위협받을 수 있는 상황이 되는 것이다.
많은 운전자들이 연료 경고등이 켜진 후에도 “최소 30~50km는 더 갈 수 있다”며 안심하곤 한다. 그러나 실제로는 차량의 종류, 도로 상황, 냉방장치 사용 유무에 따라 주행 가능 거리는 크게 달라질 수 있다. 특히 겨울철에는 연료 효율이 떨어져 경고등 점등 후 수km만에 시동이 꺼지는 경우도 있다.
수입차나 오래된 차량은 연료 잔량 감지 시스템의 오차도 더 클 수 있어, 경고등이 켜졌다는 것은 즉시 주유가 필요하다는 뜻이지, ‘조금 더 버틸 수 있다’는 의미는 아니다.
고속도로는 시속 100km 이상으로 달리는 차량이 많아, 정차 차량이 있다는 것만으로도 치명적인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더욱이, 운전자가 차 안에 남아 있거나 비상 표지판을 설치하지 않은 채 갓길에 멈춰 있다면, 그 위험성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한다.

연료 부족은 그 어떤 상황보다 쉽게 예방할 수 있는 문제다. 그러나 이를 가볍게 여긴 결과는 법적 처벌, 사고, 금전적 손해, 심지어 생명까지 위협할 수 있다.
특히 고속도로처럼 한 번 멈추면 대처가 어려운 환경에서는, ‘연료 점검’이 가장 기본적인 안전 수칙이다.
한두 번의 운 좋음에 안주하지 말고, 다음 고속도로 주행 전에는 반드시 연료 게이지부터 확인하자. 당신과 타인의 생명을 지키는 가장 간단한 습관이 될 수 있다.
댓글 많은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