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아, 2025 인베스터 데이 개최해 ‘지속가능한 모빌리티 솔루션 기업’ 전환 천명
전기차, PBV, 픽업 신차로 2030년까지 성장 전략 내놔
기아가 9일 서울 중구 신라호텔에서 ‘2025 CEO 인베스터 데이(CEO Investor Day)’를 개최하고, 투자자와 애널리스트 등을 대상으로 중장기 사업 전략을 공개했다. 기아는 이 자리에서 ‘지속가능한 모빌리티 솔루션 기업(Sustainable Mobility Solutions Provider) 전환을 천명했다.

기아는 지난 2020년 전기차 사업 체제로의 전환과 맞춤형 모빌리티 솔루션 제공을 핵심으로 하는 중장기 미래 전략 ‘Plan S’를 발표한 바 있다. 이번 행사에서는 그동안의 성과와 함께 최근 글로벌 자동차 산업의 변화에 대응한 2030년 중장기 성장 전략을 공유했다.
송호성 기아 사장은 “지난 2021년 ‘기아 트랜스포메이션’을 선포한 이후, 단순한 이동 수단을 넘어 공간을 혁신하고 시간을 가치 있게 만드는 브랜드가 되기 위해 노력해 왔다”며, “앞으로도 내실을 강화하고 자동차 시장 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중장기 전략을 실행함으로써 브랜드의 발전을 지속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기아는 향후 업체 간 경쟁이 심화되고 지정학적 어려움이 확대되는 상황에서도 시장 변화에 유연하게 대처하고, 직면한 리스크에 적극 대응해 위기를 기회로 바꿔 나가겠다는 목표를 밝혔다.

올해 글로벌 시장 판매 목표는 322만 대로 설정했으며, 2027년 375만 대, 2030년 419만 대 및 글로벌 시장 점유율 4.5% 달성을 목표로 제시했다. 2030년 판매 목표는 지난해 인베스터 데이에서 발표한 430만 대 대비 19만 대 조정한 수치다. 지역별로는 2030년 북미에서 111만 대, 유럽에서 77만 대를 판매할 계획이며, 국내에서는 58만 대, 인도에서는 40만 대 판매를 목표하고 있다.
친환경차 판매는 2025년 89만 7000대(판매 비중 28%)에서 2030년 233만 3000대(비중 56%)까지 늘릴 계획이다. 이 중 전기차는 125만 9000대를, 하이브리드 및 플러그인 하이브리드는 107만 4000대를 판매할 예정이다. 특히 2030년 주요 4대 시장별 친환경차 판매 비중은 북미 70%, 유럽 86%, 국내 73%, 인도 43%까지 확대할 계획이다.
친환경차 판매 확대를 위해 라인업도 강화해 나간다. 올해 말 기준 하이브리드를 포함한 내연기관 23종, 전기차 9종 등 총 32종에서, 2030년에는 내연기관 17종, 전기차 15종으로 전동화 비중을 확대해 나갈 방침이다.

기아는 전기차 대중화 시대로의 성공적인 안착을 위해 전동화 전환을 핵심 목표로 하는 중장기 전략 ‘Plan S’를 지속 추진할 예정이다. EV3, EV4, EV5 등 전기차 대중화 모델을 글로벌 시장에 확대 전개해 전기차 구매 장벽을 낮추고, 2026년 EV2의 성공적인 출시를 통해 풀 라인업을 구축할 계획이다. 또한 원가 경쟁력 및 상품성 강화, 고객 서비스 강화, 충전 인프라 확대, 지역별 현지 생산을 확대할 방침이다.
PBV(목적 기반 차량) 분야에서는 2025년 전용 PBV 모델을 출시하고, 2030년까지 100만 대 판매를 목표로 설정했다. 이를 위해 PBV 전용 플랫폼을 개발하고, 다양한 고객 요구에 대응할 수 있는 모듈형 구조를 도입할 예정이다.

픽업트럭 시장 진출도 공식화했다. 기아는 북미 시장을 겨냥한 중형 전동화 픽업트럭을 출시하고, 중장기적으로 연 9만 대 판매, 시장 점유율 7%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미국 현지 생산을 고려하고 있으며, 출시 시점은 2028년으로 예상된다.
기아는 향후 5년간 미래 사업에 19조 원을 포함해 총 42조 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전동화, 자율주행, 모빌리티 서비스 등 미래 모빌리티 분야에서 경쟁력을 강화하고, 지속가능한 모빌리티 솔루션 기업으로의 전환을 가속화할 방침이다.
댓글 많은 뉴스